-
수술 및 출산
-
전립선비대증
-
복압성요실금
-
심리적인 요인
행동치료 | 금연, 체중조절, 커피나 탄산음료 등의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삼가는 생활습관의 개선이 우선되어야 합니다.
행동치료로 방광훈련과 골반저근운동을 시행하는데, 방광훈련이란 소변이 마렵다는 생각이 들면 곧장 화장실로 가지 말고 마려운 순간 하던 일을 멈추고 3~5초간 서서 골반저근을 수축한 상태로 소변을 참았다가 소변을 보러 가는 것으로, 평상시 배뇨 간격을 서서히 15~30분씩 늘려가는 것입니다. 즉, 소변을 조금씩 참아서 방광용적을 늘려 소변 보는 시간을 3~4시간마다 한번씩 배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. 개인마다 배뇨간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배뇨기록지를 토대로 첫 배뇨간격을 결정한 후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. 골반저근운동은 소변이 마려울 때 요도를 쪼이거나 방귀가 나오려고 할 때 항문을 쪼이듯이 골반저근을 쪼였다 풀었다 하는 운동으로 5초 수축, 10초 이완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1회 운동시 10~20개, 하루에 100개씩 3~6개월 이상 꾸준히 시행 하며, 골반저근운동을 항문쪼이기 운동 또는 케겔 운동이라고도 합니다. 행동치료는 약물치료와 병행할 때 더욱 효과적 입니다. |
행동치료 | |
금연, 체중조절, 커피나 탄산음료 등의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삼가는 생활습관의 개선이 우선되어야 합니다.
행동치료로 방광훈련과 골반저근운동을 시행하는데, 방광훈련이란 소변이 마렵다는 생각이 들면 곧장 화장실로 가지 말고 마려운 순간 하던 일을 멈추고 3~5초간 서서 골반저근을 수축한 상태로 소변을 참았다가 소변을 보러 가는 것으로, 평상시 배뇨 간격을 서서히 15~30분씩 늘려가는 것입니다. 즉, 소변을 조금씩 참아서 방광용적을 늘려 소변 보는 시간을 3~4시간마다 한번씩 배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. 개인마다 배뇨간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배뇨기록지를 토대로 첫 배뇨간격을 결정한 후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. 골반저근운동은 소변이 마려울 때 요도를 쪼이거나 방귀가 나오려고 할 때 항문을 쪼이듯이 골반저근을 쪼였다 풀었다 하는 운동으로 5초 수축, 10초 이완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1회 운동시 10~20개, 하루에 100개씩 3~6개월 이상 꾸준히 시행 하며, 골반저근운동을 항문쪼이기 운동 또는 케겔 운동이라고도 합니다. 행동치료는 약물치료와 병행할 때 더욱 효과적 입니다. |
|
약물치료 | 많이 사용되는 약물은 항콜린제로 방광배뇨근의 수축을 억제하여 방광을 안정시켜 빈뇨, 절박뇨, 절박성요실금의 증상을 호전시킵니다.
이러한 약물들은 방광평활근 수축을 억제함으로 소변을 더 오래 저장할 수 있게 하여 소변보는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부작용으로서 입마름, 변비, 어지러움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입마름이 있을 때는 물로 입안을 헹구어주거나 얼음을 서서히 녹여먹기 그리고 새콤한 사탕을 먹으면서 타액 분비를 유도하거나 껌을 씹을 수도 있습니다. |
약물치료 | |
많이 사용되는 약물은 항콜린제로 방광배뇨근의 수축을 억제하여 방광을 안정시켜 빈뇨, 절박뇨, 절박성요실금의 증상을 호전시킵니다.
이러한 약물들은 방광평활근 수축을 억제함으로 소변을 더 오래 저장할 수 있게 하여 소변보는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부작용으로서 입마름, 변비, 어지러움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입마름이 있을 때는 물로 입안을 헹구어주거나 얼음을 서서히 녹여먹기 그리고 새콤한 사탕을 먹으면서 타액 분비를 유도하거나 껌을 씹을 수도 있습니다. |
|
수술적치료 | 행동치료와 약물치료로도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약물 복용이 힘들 경우 보톡스 방광내 주입술, 천수신경조절술, 방광확대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방광내 보톡스 주입술은 국소마취 하에 방광내시경을 시행하여 방광 내 주사기를 이용하여 방광근에 보톡스를 주사하는 방법입니다. 시술이 간단하고 방광의 해부학적 변화가 오지 않아 비교적 간편하게 시행해 볼 수 있으나 6~9개월에 한번씩 시행 하여야 하고 4%정도에서 잔뇨가 남아 도뇨관 사용을 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습니다. 천수신경조절술의 경우 천수 신경을 자극하는 자극기를 몸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한번 시행하면 합병증이 없는 한 10년정도 유지할 수 있으나 효과가 있는 환자에서만 시행 할 수 있고 간염, 기계고장등의 합병증이 있습니다. |
수술적치료 | |
행동치료와 약물치료로도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약물 복용이 힘들 경우 보톡스 방광내 주입술, 천수신경조절술, 방광확대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방광내 보톡스 주입술은 국소마취 하에 방광내시경을 시행하여 방광 내 주사기를 이용하여 방광근에 보톡스를 주사하는 방법입니다. 시술이 간단하고 방광의 해부학적 변화가 오지 않아 비교적 간편하게 시행해 볼 수 있으나 6~9개월에 한번씩 시행 하여야 하고 4%정도에서 잔뇨가 남아 도뇨관 사용을 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습니다. 천수신경조절술의 경우 천수 신경을 자극하는 자극기를 몸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한번 시행하면 합병증이 없는 한 10년정도 유지할 수 있으나 효과가 있는 환자에서만 시행 할 수 있고 간염, 기계고장등의 합병증이 있습니다. |